엑셀 LEN 함수 사용법, 글자 수 세기 1초면 OK! (공백 포함, LENB 차이)
고객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글자 수 제한을 맞추느라, 혹은 주민등록번호나 사업자 번호가 정확한 자릿수로 입력되었는지 일일이 눈으로 확인하고 계신가요?
글자 수를 하나하나 세어보거나, 자릿수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 때문에 골머리를 앓은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이처럼 데이터의 길이를 확인하는 작업은 데이터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지만, 수작업으로 처리하기엔 너무나도 번거롭고 실수가 잦습니다.
하지만 엑셀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강력한 텍스트 함수, LEN 함수 사용법만 알면 이 모든 고민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셀 안의 글자 수를 공백까지 포함하여 정확하게 세는 비법부터 실무 활용 꿀팁까지 완벽하게 알려드립니다.
이 글의 마지막에는 바쁘신 분들을 위한 핵심 내용 3줄 요약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 목차
🤔엑셀 LEN 함수란? (글자 길이 측정의 기본)
엑셀 LEN 함수는 'Length(길이)'의 약자로, 그 이름 그대로 지정한 텍스트의 총 글자 수를 숫자로 반환하는 아주 간단한 함수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눈에 보이는 글자뿐만 아니라, 숫자, 특수문자, 그리고 눈에 보이지 않는 공백(띄어쓰기)까지 모두 하나로 센다는 것입니다.
LEN 함수는 단독으로 사용되어 데이터의 길이를 확인하고 유효성을 검사하는 데에도 쓰이지만, 그 진가는 다른 텍스트 함수와 결합될 때 발휘됩니다.
MID, RIGHT, FIND 같은 함수들과 함께 쓰여, 복잡한 텍스트 데이터를 동적으로 처리하는 데 핵심적인 '재료' 역할을 합니다. LEN 함수 사용법을 아는 것은 텍스트 함수 조합의 첫걸음입니다.
⚙️LEN 함수 사용법, 인수는 단 하나! (세상에서 가장 쉬운 공식)
LEN 함수의 공식은 엑셀의 모든 함수를 통틀어 가장 간단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엑셀에게 글자 수를 세라고 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단 하나뿐입니다.
=LEN(text)
단 하나의 인수 'text'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만 알면 끝입니다.
- text (필수): 길이를 계산하고 싶은 텍스트 또는 해당 텍스트가 들어있는 셀 주소를 지정합니다.
정말 이게 전부입니다. `LEN(A1)` 이라고 입력하면 A1셀의 글자 수를, `LEN("엑셀 꿀팁")` 이라고 입력하면 "엑셀 꿀팁"이라는 텍스트의 길이를 바로 알려줍니다.
📊실무 예제: LEN 함수로 데이터 유효성 검사하기
이제 LEN 함수가 실제 업무에서 얼마나 유용한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래 '상품코드 및 설명' 표에서 '상품코드'의 자릿수가 올바른지, '상품설명'이 글자 수 제한을 초과하지 않는지 검사해 보겠습니다.
상품코드 | 코드 길이 | 상품설명 | 설명 길이 |
---|---|---|---|
ITEM-2024-001 | ? | 가볍고 빠른 최신형 노트북 | ? |
ITEM-2025-02 | ? | 선명한 화질의 27인치 모니터 | ? |
예제: '상품코드'와 '상품설명'의 길이 계산하기
'코드 길이'를 계산할 B2셀에 수식을 입력합니다. =LEN(A2)
→ 결과: 14
'설명 길이'를 계산할 D2셀에도 똑같이 수식을 입력합니다. =LEN(C2)
→ 결과: 14 (띄어쓰기 포함)
이 결과를 바탕으로 IF 함수나 조건부 서식을 활용하면, '코드가 14자가 아니면 오류 표시' 또는 '설명이 20자를 초과하면 셀 색상 변경'과 같은 자동화된 데이터 검증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LEN 함수 고수의 팁 (공백 포함, LENB와의 차이)
LEN 함수 사용법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점과,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한 핵심 팁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흔한 실수: 눈에 보이지 않는 '공백(Space)'
위 표의 A3셀 'ITEM-2025-02 '는 맨 뒤에 공백이 하나 포함되어 있습니다. 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LEN(A3)
의 결과는 13이 아닌 14가 됩니다. 데이터 입력 시 실수로 들어간 이런 공백들은 나중에 VLOOKUP 등에서 오류를 일으키는 주범이 되므로, LEN 함수로 데이터 길이를 체크하는 습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 핵심 포인트: LEN vs LENB, 무엇이 다른가?
엑셀에는 LEN과 비슷한 LENB라는 함수가 있습니다.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을 세느냐에 있습니다.
• LEN: 글자의 '개수'를 셉니다. (한글, 영어, 숫자, 기호 모두 1개로 취급)
• LENB: 글자가 차지하는 메모리 용량, 즉 '바이트(Byte)'를 셉니다.
영어, 숫자, 공백 등(1바이트 문자)은 LEN과 LENB의 결과가 같지만, 한글, 한자 등(2바이트 문자)은 LENB가 LEN보다 2배 큰 값을 반환합니다. (예: LEN("abc")=3, LENB("abc")=3 / LEN("가나다")=3, LENB("가나다")=6)
일반적인 글자 수 세기에는 LEN 함수를 사용하면 되고, 시스템에 따라 바이트 수를 기준으로 길이를 제한하는 경우에만 LENB 함수를 사용한다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 LEN 함수는 셀 안의 글자, 숫자, 기호, 공백을 모두 포함하여 총 '개수'를 세는 가장 간단한 함수입니다.
- 데이터의 자릿수를 확인하여 유효성을 검사하거나 오류를 찾아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LENB 함수는 글자의 개수가 아닌 바이트(용량)를 계산하며, 한글은 1글자를 2바이트로 계산하는 점이 다릅니다.
오늘 알려드린 LEN 함수 사용법, 이제 글자 수 세기는 자신 있으시죠? 공감♥은 더 유용한 엑셀 팁을 만드는 에너지입니다!
LEN 함수로 불필요한 공백을 찾아냈다면, 다음 단계로 TRIM 함수를 이용해 이 공백들을 한 번에 제거하는 방법을 배워보세요. 또한, LEFT, RIGHT, MID 함수와 LEN 함수를 조합하면 훨씬 강력한 텍스트 처리가 가능해집니다.
더 궁금한 점이나 다뤄줬으면 하는 다른 엑셀 함수가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LEN함수 #엑셀LEN #LEN함수사용법 #엑셀글자수 #엑셀글자수세기 #공백포함 #LENB #LENB함수 #엑셀텍스트함수 #직장인엑셀
'엑셀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UPPER 함수 사용법, 클릭 한 번으로 모든 영문을 대문자로! (LOWER, PROPER) (0) | 2025.07.17 |
---|---|
엑셀 TRIM 함수 사용법, 불필요한 공백 제거 1초면 끝! (VLOOKUP 오류 해결) (1) | 2025.07.17 |
엑셀 MID 함수 사용법, 중간 글자 추출/자르기 완벽 정복! (실무 예제) (0) | 2025.07.15 |
엑셀 RIGHT 함수 사용법, 오른쪽 글자 추출/자르기 1분이면 끝! (1) | 2025.07.14 |
엑셀 LEFT 함수 사용법, 왼쪽 글자 추출/자르기 1초면 끝! (실무 예제) (1)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