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엑셀 꿀팁

엑셀 RIGHT 함수 사용법, 오른쪽 글자 추출/자르기 1분이면 끝!

by !랜드로드! 2025. 7. 14.
반응형

엑셀 RIGHT 함수 사용법, 오른쪽 글자 추출/자르기 1분이면 끝!

엑셀 RIGHT 함수

 

전화번호 뒷자리 4개만, 파일 이름에서 'xlsx'나 'pdf' 같은 확장자만, 혹은 긴 주소에서 마지막 '구' 이름만 쏙 빼내야 할 때, 어떻게 작업하시나요? 혹시 긴 텍스트의 끝부분을 남기고 앞부분을 일일이 손으로 지우는 비효율적인 일을 반복하고 계신가요?

 

이처럼 텍스트의 오른쪽 끝부분을 잘라내는 작업은 데이터 정리에 필수적이지만, 수작업은 귀찮고 시간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실수하기도 쉽습니다.

 

하지만 LEFT 함수의 쌍둥이 형제, 엑셀 RIGHT 함수 사용법만 알면 이 모든 번거로움이 마법처럼 해결됩니다. 어떤 텍스트든 오른쪽 끝을 기준으로 원하는 글자 수만큼 정확히 추출하는 비법과 실무 활용 꿀팁을 완벽하게 알려드립니다.

 

이 글의 마지막에는 바쁘신 분들을 위한 핵심 내용 3줄 요약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엑셀 RIGHT 함수란? (텍스트 오른쪽 자르기)

엑셀 RIGHT 함수는 이름 그대로, 지정한 텍스트의 '오른쪽(Right)' 끝에서부터, 내가 원하는 개수만큼 글자를 거꾸로 세어 추출(자르기)해주는 매우 직관적인 함수입니다.

이 함수에게 "A1셀에 있는 텍스트의 오른쪽 끝에서 4글자만 가져와 줘"라고 명령하면, 엑셀은 해당 텍스트의 맨 마지막 글자부터 4개를 정확하게 잘라냅니다.

LEFT 함수가 텍스트의 시작 부분을 담당한다면, RIGHT 함수는 끝부분을 담당하는 단짝입니다. 이 둘과 중간 부분을 담당하는 MID 함수만 마스터하면, 어떤 텍스트 데이터라도 자유자재로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게 됩니다.

 

 

⚙️RIGHT 함수 사용법, 2가지 인수만 기억하세요! (기본 공식)

반응형

RIGHT 함수의 공식은 LEFT 함수와 완전히 동일한 구조를 가져 배우기 매우 쉽습니다. 단 두 가지만 엑셀에게 알려주면 됩니다.

=RIGHT(text, [num_chars])

각 인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 두 가지의 의미만 정확히 기억하세요.

  1. text (원본 텍스트): 글자를 잘라낼 원본 텍스트 또는 그 텍스트가 들어있는 셀을 지정합니다.
  2. [num_chars] (추출할 글자 수): 오른쪽 끝에서부터 몇 개의 글자를 가져올지 숫자로 지정합니다. 이 인수는 선택 사항이며, 만약 생략하면 기본값인 '1'이 적용되어 오른쪽 맨 끝 글자 한 개만 가져옵니다.

'어떤 텍스트에서(text), 오른쪽에서 몇 글자를 가져올지(num_chars)' 이 두 가지만 알면 RIGHT 함수 사용법은 완벽하게 마스터한 것입니다.

 

 

📊실무 예제로 배우는 RIGHT 함수 (전화번호, 파일 확장자 추출)

이제 실무에서 RIGHT 함수가 어떻게 빛을 발하는지 직접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래 '연락처 및 파일 정보' 표에서 '전화번호'의 뒷자리와 '파일명'의 확장자를 추출해 보겠습니다.

전화번호 뒷자리 4개 파일명 확장자
010-1234-5678 ? 24년도_상반기_보고서.xlsx ?
010-9876-5432 ? 회의록_초안_v2.pdf ?

예제 1: '전화번호'에서 '뒷자리 4개' 추출하기

'뒷자리 4개'를 추출할 B2셀에 다음과 같이 수식을 입력합니다.
=RIGHT(A2, 4) → 결과: 5678

예제 2: '파일명'에서 '확장자' 추출하기

파일 확장자는 보통 3~4글자입니다. '.xlsx'는 4글자, '.pdf'는 3글자죠. 확장자가 4글자인 'xlsx'를 추출하려면 D2셀에, 3글자인 'pdf'를 추출하려면 D3셀에 각각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RIGHT(C2, 4) → 결과: xlsx
=RIGHT(C3, 3) → 결과: pdf

하지만 확장자 길이가 제각각일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이럴 때 고수의 팁이 필요합니다.

 

 

💡RIGHT 함수 고수의 팁 (LEN, FIND 함수 조합)

RIGHT 함수의 진정한 힘은 다른 함수와 결합하여 '추출할 글자 수'를 동적으로 계산할 때 드러납니다.

예를 들어 위 '파일명'에서 확장자를 분리할 때, 확장자 앞의 '.'(마침표) 위치를 찾고, 전체 길이에서 그 위치를 빼주면 확장자의 길이를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 핵심 포인트: 동적으로 확장자 추출하기

파일 확장자를 동적으로 추출하는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IGHT(C2, LEN(C2) - FIND(".", C2))
1. LEN(C2)는 C2셀의 전체 글자 수를 계산합니다. (예: '24년도_상반기_보고서.xlsx' -> 17)
2. FIND(".", C2)는 '.'의 위치를 찾습니다. (예: 13번째)
3. 전체 길이(17)에서 '.'의 위치(13)를 빼면 확장자의 길이(4)가 나옵니다.
4. 결국 =RIGHT(C2, 4)와 같은 의미가 되어, 확장자 길이에 상관없이 언제나 정확한 값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LEN(전체 길이), FIND(위치 찾기) 함수와 조합하면, 단순히 고정된 글자 수를 추출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해 자동으로 처리하는 전문가 수준의 수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 RIGHT 함수는 '텍스트'와 '추출할 글자 수' 2개의 인수로 텍스트의 오른쪽 끝부분을 간단하게 잘라냅니다.
  • 전화번호 뒷자리, 파일 확장자, 코드의 마지막 부분 등을 추출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 LEN(길이), FIND(위치) 함수와 조합하면 추출할 글자 수가 유동적일 때도 완벽하게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RIGHT 함수 사용법, 이제 텍스트 오른쪽 자르기는 식은 죽 먹기죠? 공감♥은 더 좋은 엑셀 팁을 만드는 원동력입니다!

RIGHT 함수를 마스터하셨다면, 그의 단짝인 LEFT(왼쪽 자르기), MID(중간 자르기) 함수도 꼭 함께 배워보세요. 여러분의 텍스트 데이터 처리 능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할 것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다뤄줬으면 하는 다른 엑셀 함수가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RIGHT함수 #엑셀RIGHT #RIGHT함수사용법 #엑셀텍스트자르기 #엑셀글자추출 #엑셀문자열자르기 #LEFT함수 #MID함수 #LEN함수 #직장인엑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