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엑셀 꿀팁

엑셀 LEFT 함수 사용법, 왼쪽 글자 추출/자르기 1초면 끝! (실무 예제)

by !랜드로드! 2025. 7. 14.
반응형

엑셀 LEFT 함수 사용법, 왼쪽 글자 추출/자르기 1초면 끝! (실무 예제)

엑셀 LEFT 함수

 

'YYMMDD-XXXXXXX' 형식의 주민등록번호에서 생년월일만, '부서명-사원번호'에서 부서 코드만, '서울시 강남구'에서 '서울시'만 쏙 빼내야 하는 작업,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혹시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는 일일이 손으로 지우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이런 텍스트 자르기, 글자 추출 작업은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필수 과정이지만, 수작업은 시간을 낭비하고 실수를 유발하는 지름길입니다.

 

하지만 엑셀의 가장 기본적인 텍스트 함수, LEFT 함수 사용법만 알면 이 모든 고민이 해결됩니다. 어떤 텍스트든 왼쪽을 기준으로 원하는 글자 수만큼 깔끔하게 잘라내는 비법과 실무 활용 꿀팁까지 완벽하게 알려드립니다.

 

이 글의 마지막에는 바쁘신 분들을 위한 핵심 내용 3줄 요약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엑셀 LEFT 함수란? (텍스트 왼쪽 자르기)

엑셀 LEFT 함수는 이름 그대로, 지정한 텍스트의 '왼쪽(Left)'을 기준으로, 내가 원하는 개수만큼 글자를 추출(자르기)해주는 아주 간단하고 유용한 함수입니다.

이 함수에게 "A1셀에 있는 텍스트의 왼쪽에서 3글자만 가져와 줘"라고 명령하면, 엑셀은 해당 텍스트의 첫 번째 글자부터 세 번째 글자까지를 정확하게 가져옵니다.

LEFT 함수는 오른쪽에서 글자를 추출하는 RIGHT 함수, 중간에서 추출하는 MID 함수와 함께 텍스트 데이터 가공의 삼총사로 불립니다. 이 함수들만 잘 활용해도 지저분한 텍스트 데이터를 깔끔하게 정리하고 분석의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LEFT 함수 사용법, 단 2개 인수면 끝! (기본 공식)

반응형

LEFT 함수의 공식은 믿을 수 없을 만큼 간단합니다. 엑셀에게 시킬 일은 단 두 가지만 알려주면 됩니다.

=LEFT(text, [num_chars])

각 인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 두 가지의 의미만 정확히 파악하면 됩니다.

  1. text (원본 텍스트): 글자를 추출해 올 원본 텍스트 또는 해당 텍스트가 들어있는 셀을 지정합니다.
  2. [num_chars] (추출할 글자 수): 왼쪽에서부터 몇 개의 글자를 가져올지 숫자로 지정합니다. 이 인수는 선택 사항으로, 만약 생략하면 기본값인 '1'이 적용되어 왼쪽 첫 번째 글자 한 개만 가져옵니다.

'어떤 텍스트에서(text), 왼쪽에서 몇 글자를 가져올지(num_chars)' 이 두 가지만 기억하면, 오늘부터 당신도 텍스트 나누기 전문가입니다.

 

 

📊실무 예제로 배우는 LEFT 함수 (사번, 이메일, 날짜 활용)

이제 실제 업무에서 자주 만나는 상황을 통해 LEFT 함수 사용법을 익혀보겠습니다. 아래 '직원 정보' 표에서 '사번'을 이용해 입사 연도를, '이메일' 주소에서 아이디 부분을 추출해 보겠습니다.

사번 입사연도 이메일 아이디
2024-HR-001 ? excelmaster@email.com ?
2025-DEV-002 ? datapower@email.com ?

예제 1: '사번'에서 '입사연도' 4글자 추출하기

'입사연도'를 추출할 B2셀에 다음과 같이 수식을 입력합니다.
=LEFT(A2, 4) → 결과: 2024

예제 2: '날짜 데이터(YYYY-MM-DD)'에서 '연도' 추출하기

만약 셀에 '2025-07-12'와 같은 날짜 텍스트가 있다면, =LEFT(셀주소, 4)를 통해 연도만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LEFT 함수 고수의 팁 (FIND 함수와 조합하기)

LEFT 함수의 진가는 다른 함수와 조합될 때 나타납니다. 만약 '이메일 주소'에서 '@' 앞의 아이디만 추출하고 싶은데, 아이디의 글자 수가 사람마다 다르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특정 문자의 위치를 찾아주는 FIND 함수 또는 SEARCH 함수입니다. FIND 함수로 '@' 기호의 위치를 찾은 다음, 그 위치를 LEFT 함수의 '추출할 글자 수' 인수에 넣어주면 됩니다.

🚀 핵심 포인트: 동적(Dynamic)으로 글자 수 지정하기

위 예제에서 '아이디'를 추출할 D2셀의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LEFT(C2, FIND("@", C2) - 1)
1. FIND("@", C2)는 C2셀에서 '@'의 위치(12)를 찾아줍니다.
2. 아이디는 '@' 바로 앞까지이므로, 찾은 위치에서 1을 빼줍니다. (12 - 1 = 11)
3. 결국 =LEFT(C2, 11)과 같은 의미가 되어, 아이디의 길이에 상관없이 언제나 정확한 값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FIND 함수와 조합하면, 매번 글자 수를 직접 세어 입력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처리되는 매우 유연하고 강력한 수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 LEFT 함수는 '텍스트'와 '추출할 글자 수' 단 2개의 인수로 텍스트의 왼쪽 부분을 간단하게 잘라냅니다.
  • 사번, 주민등록번호, 날짜 등 일정한 규칙이 있는 데이터에서 특정 부분을 추출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 FIND, SEARCH 함수와 조합하면 추출할 글자 수가 유동적인 경우에도 완벽하게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LEFT 함수 사용법, 이제 텍스트 자르기가 훨씬 쉬워지셨죠? 공감♥은 더 유용한 엑셀 꿀팁을 만드는 데 큰 힘이 됩니다!

LEFT 함수를 마스터하셨다면, 그의 단짝인 RIGHT(오른쪽 자르기), MID(중간 자르기) 함수도 함께 배워보세요. 텍스트 데이터 가공의 모든 것을 정복할 수 있을 겁니다.

더 궁금한 점이나 다뤄줬으면 하는 다른 엑셀 함수가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LEFT함수 #엑셀LEFT #LEFT함수사용법 #엑셀텍스트자르기 #엑셀글자추출 #엑셀문자열자르기 #RIGHT함수 #MID함수 #FIND함수 #직장인엑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