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엑셀 꿀팁

엑셀 DAY 함수 사용법, 날짜에서 '일'만 쏙! 1초면 추출 끝

by !랜드로드! 2025. 7. 18.
반응형

엑셀 DAY 함수 사용법, 날짜에서 '일'만 쏙! 1초면 추출 끝

엑셀 DAY 함수

 

'2025-07-17'과 같은 전체 날짜 데이터에서 '17일'이라는 일자 정보만 필요할 때,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매월 15일이나 말일에 마감되는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날짜를 일일이 확인하며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날짜에서 '일' 정보만 따로 분리하는 작업은 급여일 계산, 마감일 관리 등 수많은 실무에서 필요하지만, 수작업으로 처리하기엔 너무 번거롭고 실수가 잦습니다. 특히 일별 판매 현황이나 출석률을 분석할 때 이는 큰 걸림돌이 됩니다.

 

하지만 날짜 분리 삼총사의 마지막 멤버, 엑셀 DAY 함수 사용법만 알면 이 모든 고민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어떤 날짜에서든 '일' 정보만 1에서 31까지의 숫자로 정확하게 추출하여, 일별 데이터 관리 및 분석을 자유자재로 하는 비법을 알려드립니다.

 

이 글의 마지막에는 바쁘신 분들을 위한 핵심 내용 3줄 요약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엑셀 DAY 함수란? (날짜 분리의 완성)

반응형

엑셀 DAY 함수는 그 이름 그대로, 엑셀이 인식하는 유효한 날짜 데이터에서 '일(Day)'에 해당하는 부분만 1에서 31까지의 숫자로 추출해주는 날짜 분리 삼총사의 마지막 멤버입니다.

 

연도를 추출하는 YEAR, 월을 추출하는 MONTH 함수와 함께 날짜 데이터를 가장 작은 단위까지 분해하여, 데이터를 더욱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함수가 반환하는 값은 단순 텍스트가 아닌, 계산과 비교가 가능한 '숫자'라는 점이 핵심입니다.

 

따라서 "15일 이후 입금 건수만 세어줘" 또는 "매월 10일 이전 데이터는 다른 색으로 표시해줘"와 같은 일별 데이터 관리 및 조건부 서식 지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DAY 함수 사용법, 인수는 단 하나! (세상에서 가장 쉬운 공식)

DAY 함수의 공식은 YEAR, MONTH 함수와 동일한 구조로, 세상에서 가장 배우기 쉬운 함수 중 하나입니다. '일'을 추출할 날짜 데이터, 단 하나만 지정해주면 됩니다.

=DAY(serial_number)

이 공식의 유일한 인수 'serial_number'의 역할만 정확히 이해하면, DAY 함수 사용법은 더 이상 배울 것이 없습니다.

  1. serial_number (필수): '일'을 추출하고 싶은 날짜 데이터 또는 해당 날짜가 들어있는 셀 주소를 지정합니다. 이 자리에는 `TODAY()`나 `DATE(2025, 7, 17)`과 같이 다른 날짜 함수의 결과값도 들어갈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인수로 사용되는 값이 엑셀이 '날짜'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여야 한다는 점입니다. '7월 17일'과 같은 텍스트를 넣으면 `#VALUE!`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실무 예제: DAY 함수로 특정일 데이터 분류하기

이제 DAY 함수가 실제 업무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분류하고 정리하는지 직접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래 '입금 관리' 표에서 '입금일'의 일자를 추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입금 시기를 '상순/중순/하순'으로 분류해 보겠습니다.

입금일 입금일자 입금 시기
2024-07-08 ? ?
2024-07-15 ? ?
2024-07-25 ? ?

예제 1: '입금일'에서 '입금일자' 추출하기

'입금일자'를 추출할 B2셀에 다음과 같이 수식을 입력합니다.
=DAY(A2) → 결과: 8

예제 2: 일자를 기준으로 '입금 시기' 분류하기

추출한 일자 정보를 이용해 IF 함수로 입금 시기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 (10일까지 상순, 20일까지 중순, 그 이후 하순) C2셀에 다음과 같이 수식을 입력합니다.
=IF(DAY(A2)<=10, "상순", IF(DAY(A2)<=20, "중순", "하순"))

이처럼 DAY 함수는 날짜 데이터를 특정 조건에 따라 분류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재료로 사용됩니다.

 

 

💡DAY 함수 고수의 팁 (월말일, 요일과 조합하기)

DAY 함수의 진가는 다른 날짜 함수와 조합되어 더욱 정교한 조건을 만들어 낼 때 발휘됩니다.

🚀 핵심 포인트: 특정 월의 마지막 날짜 구하기!

DAY 함수를 활용하면 특정 월의 마지막 날이 며칠인지(28, 29, 30, 31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바로 DATE 함수의 0일 속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수식: =DAY(DATE(연도, 월+1, 0))
예시: =DAY(DATE(2024, 2+1, 0))
1. DATE(2024, 3, 0)은 '2024년 3월 0일', 즉 2월의 마지막 날인 '2024-02-29'를 계산합니다.
2. DAY() 함수가 이 날짜에서 '일' 부분만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29라는 결과를 반환합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면 윤년까지 완벽하게 고려하여 매달 말일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DAY 함수와 WEEKDAY 함수의 차이

많은 분들이 DAY와 WEEKDAY 함수를 헷갈려 합니다. 두 함수는 완전히 다른 정보를 제공합니다.

  • DAY(날짜): 해당 날짜의 '일'을 1~31 사이의 숫자로 반환합니다. (예: 2024-07-17 -> 17)
  • WEEKDAY(날짜): 해당 날짜의 '요일'을 1(일요일)~7(토요일) 사이의 숫자로 반환합니다.

두 함수를 함께 사용하면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과 같은 복잡한 조건도 만들어 낼 수 있어, 데이터 분석의 폭을 넓혀줍니다.

  • DAY 함수는 날짜 데이터에서 '일' 정보만 1~31 사이의 숫자로 간단하게 추출합니다.
  • IF, SUMIFS, COUNTIFS와 같은 함수와 조합하여 특정일 또는 특정 기간의 데이터를 분류하고 집계하는 데 사용됩니다.
  • DATE 함수와 함께 사용하면 매월 마지막 날짜를 구하는 등 고급 날짜 계산이 가능합니다.

오늘 알려드린 DAY 함수 사용법, 이제 일별 데이터 관리도 문제없으시죠? 공감♥은 더 유용한 엑셀 꿀팁을 만드는 데 큰 힘이 됩니다!

날짜 분리 삼총사(YEAR, MONTH, DAY)를 모두 마스터하셨다면, 다음 단계로 날짜에 해당하는 요일을 알려주는 WEEKDAY 함수나, 두 날짜 사이의 기간을 계산하는 DATEDIF 함수에 도전해 보세요.

궁금한 점이나 다뤄줬으면 하는 다른 엑셀 함수가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DAY함수 #엑셀DAY #엑셀일자추출 #DAY함수사용법 #엑셀날짜함수 #엑셀날짜계산 #YEAR함수 #MONTH함수 #WEEKDAY함수 #직장인엑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