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엑셀 꿀팁

엑셀 DATE 함수 사용법, 흩어진 날짜 합치기 1초면 끝! (날짜 계산)

by !랜드로드! 2025. 7. 17.
반응형

엑셀 DATE 함수 사용법, 흩어진 날짜 합치기 1초면 끝! (날짜 계산)

엑셀 DATE 함수

 

엑셀에 '연도', '월', '일'이 각각 다른 열에 흩어져 있어, 하나의 날짜 데이터로 합치기 위해 일일이 수작업으로 입력하고 계신가요? 혹은 '20250717'처럼 붙어있는 숫자를 엑셀이 날짜로 인식하지 못해 계산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이렇게 흩어져 있거나 텍스트로 입력된 날짜는 데이터 분석의 가장 큰 걸림돌입니다. 날짜 계산은커녕, 정렬조차 제대로 되지 않아 보고서 작성 시 큰 혼란을 유발하곤 합니다.

 

하지만 엑셀의 날짜 조립 전문가, DATE 함수 사용법만 알면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흩어진 연, 월, 일 숫자를 엑셀이 완벽하게 이해하는 '진짜' 날짜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활용한 날짜 계산까지 자유자재로 처리하는 비법을 알려드립니다.

 

이 글의 마지막에는 바쁘신 분들을 위한 핵심 내용 3줄 요약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엑셀 DATE 함수란? (숫자를 '날짜'로 만드는 마법)

반응형


엑셀 DATE 함수는 그 이름 그대로, 별개의 숫자로 입력된 '연도', '월', '일' 정보를 조합하여 엑셀이 인식할 수 있는 유효한 날짜 일련번호로 만들어주는 함수입니다.

 

단순히 텍스트를 연결하는 CONCATENATE와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DATE 함수는 텍스트가 아닌, 계산이 가능한 '숫자' 형식의 날짜를 만들어 줍니다. 엑셀은 1900년 1월 1일을 숫자 1로 인식하고, 하루가 지날 때마다 1씩 증가하는 방식으로 날짜를 관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ATE 함수로 만들어진 날짜는 다른 날짜와 더하고 빼는 등 모든 종류의 날짜 계산이 가능해져, 데이터 분석의 활용도를 극적으로 높여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DATE 함수 사용법, 3가지 인수만 기억하세요! (기본 공식)

DATE 함수의 공식은 매우 직관적입니다. 날짜를 구성하는 3가지 필수 요소만 순서대로 넣어주면 됩니다.

=DATE(year, month, day)

각 인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 3가지만 정확히 기억하세요.

  1. year (연도): 날짜의 연도를 나타내는 숫자 또는 셀 주소입니다. 네 자리로 입력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예: 2025)
  2. month (월): 날짜의 월을 나타내는 숫자 또는 셀 주소입니다. (1~12 사이의 값)
  3. day (일): 날짜의 일을 나타내는 숫자 또는 셀 주소입니다. (1~31 사이의 값)

'연, 월, 일' 이 순서대로 3개의 숫자만 넣어주면, 엑셀이 알아서 올바른 날짜로 조립해 줍니다.

 

 

📊실무 예제: 흩어진 연, 월, 일 데이터 합치기

이제 실무에서 가장 흔하게 마주치는 상황, 즉 각각 다른 열에 입력된 연, 월, 일 데이터를 DATE 함수로 합치는 방법을 직접 확인해 보겠습니다.

연도 완성된 날짜 (DATE)
2024 10 5 ?
2025 2 28 ?

'완성된 날짜'를 표시할 D2셀에 다음과 같이 수식을 입력합니다.
=DATE(A2, B2, C2)

이 수식을 아래로 채우기만 하면, 엑셀은 흩어져 있던 숫자들을 조합하여 '2024-10-05', '2025-02-28'과 같은 유효한 날짜 데이터로 완벽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제 이 날짜를 기준으로 정렬하거나 다른 날짜와 계산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DATE 함수 고수의 팁 (월말 날짜, N개월 후 날짜 계산)

DATE 함수의 진정한 힘은 다른 날짜 함수들과 결합하여 유연한 날짜 계산을 할 때 드러납니다.

🚀 핵심 포인트: DATE 함수의 자동 보정 기능!

DATE 함수의 가장 스마트한 기능은 바로 '자동 보정'입니다. 존재하지 않는 날짜를 입력하면 알아서 올바른 날짜로 계산해 줍니다.
월(month)이 12를 초과할 경우: DATE(2024, 13, 1) → 13월은 없으므로, 다음 해 1월로 넘어가 '2025-01-01'을 반환합니다.
일(day)이 해당 월의 마지막 날을 초과할 경우: DATE(2024, 2, 30) → 2월은 29일까지이므로, '2024-03-01'을 반환합니다.
특히 '일(day)' 인수에 '0'을 입력하면, '전 달의 마지막 날'을 구해주는 매우 유용한 꿀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 DATE(2024, 3, 0) → 3월의 0일, 즉 2월의 마지막 날인 '2024-02-29'를 반환)

특정일 기준, N개월 후 날짜 구하기

특정 날짜(A1셀)로부터 정확히 3개월 후의 날짜를 계산하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요? 바로 DATE 함수와 YEAR, MONTH, DAY 함수를 조합하면 됩니다.

=DATE(YEAR(A1), MONTH(A1)+3, DAY(A1))

이 수식은 A1셀의 연, 월, 일 정보를 각각 추출한 뒤, '월'에만 3을 더해서 새로운 날짜를 조립하는 원리입니다. 매달 말일이나 계약 만료일 등을 계산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ATE 함수는 '연, 월, 일' 3개의 숫자 인수를 조합하여 계산 가능한 '진짜' 날짜 데이터로 만들어 줍니다.
  • 흩어져 있는 날짜 데이터를 하나로 합쳐 정렬이나 계산, 차트 작성 등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때 필수적입니다.
  • 자동 보정 기능을 활용하면 특정 월의 마지막 날짜를 구하거나, N개월 후/전 날짜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DATE 함수 사용법, 이제 날짜 데이터 조립과 계산에 자신감이 생기셨나요? 공감♥은 더 좋은 엑셀 팁을 만드는 원동력입니다!

DATE 함수를 마스터하셨다면, 날짜에서 연(YEAR), 월(MONTH), 일(DAY)을 다시 추출하는 함수들이나, 두 날짜 사이의 기간을 계산하는 DATEDIF 함수에 대해 알아보세요. 여러분의 날짜 관리 능력이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될 것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다뤄줬으면 하는 다른 엑셀 함수가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DATE함수 #엑셀DATE #엑셀날짜만들기 #DATE함수사용법 #엑셀날짜계산 #엑셀날짜합치기 #YEAR함수 #MONTH함수 #DAY함수 #직장인엑셀

반응형